우도 위르겐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도 위르겐스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작곡가이자 가수이다. 1950년 작곡 콘테스트에서 우승하며 음악 활동을 시작했으며, 1961년 셜리 베시가 부른 "Reach for the Stars"를 작곡하며 이름을 알렸다. 그는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세 번 참가하여 1966년 "Merci, Chérie"로 우승을 차지했다. 이 곡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커버되었으며, 맷 먼로의 "Walk Away"는 그의 곡을 영어로 번안한 것이다. 2015년까지 57년 이상 차트에 이름을 올리며 세계 기록을 보유했으며, 2014년 사망 이후에도 그의 유산을 담은 앨범이 발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64 참가자 - 위그 오프레
위그 오프레는 프랑스의 가수이자 작곡가로, 밥 딜런의 곡을 프랑스어로 번역하고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참가하며 사회 참여 활동을 펼쳤다.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64 참가자 - 비에른 티드만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66 참가자 - 디키 록
아일랜드 더블린 출신의 가수이자 배우인 디키 록은 1960년대 마이애미 쇼밴드 프론트맨으로 활동하며 아일랜드 차트 1위를 기록하는 등 성공을 거두었고, 1966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아일랜드 대표로 참가했으며, 솔로 활동을 이어가다 2021년 은퇴 후 2024년 사망했다.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66 참가자 - 도메니코 모두뇨
도메니코 모두뇨는 "Volare (Nel blu dipinto di blu)"로 세계적 명성을 얻고 그래미상을 수상한 이탈리아의 싱어송라이터, 배우, 정치인으로, 이탈리아 칸초네에 록 음악 요소를 도입하여 음악적 혁신을 이끌었으며, 급진당 소속으로 이탈리아 국회의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65 참가자 - 프랑스 갈
프랑스의 가수 프랑스 갈은 1960년대 데뷔하여 세르주 갱스부르의 곡으로 인기를 얻고, 룩셈부르크 대표로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65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하며 국제적인 인지도를 얻었으며, 미셸 베르제와의 협업을 통해 프랑스 팝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65 참가자 - 부치 무어
부치 무어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개요를 작성할 수 없다.
우도 위르겐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위르겐 우도 보켈만 |
출생 | 1934년 9월 30일 |
출생지 | 오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 |
사망 | 2014년 12월 21일 (향년 80세) |
사망지 | 스위스 뮌스터링겐 |
국적 | 오스트리아, 스위스 |
직업 | 가수, 음악가, 작곡가 |
악기 | 보컬, 피아노 |
장르 | 팝 음악, 슐라거 음악, 소프트 록 |
활동 기간 | 1950년–2014년 |
웹사이트 | 우도 위르겐스 공식 웹사이트 |
수상 | |
수상 내역 | 독일 음악 저작자상 평생 공로상 |
2. 경력
1950년, 우도 위르겐스는 오스트리아 공영 방송 채널 ORF가 주최한 작곡 콘테스트에서 "Je t'aime"이라는 곡으로 우승했다. 1961년에는 셜리 베시가 부른 세계적인 히트곡 "Reach for the Stars"를 작곡했다.[5]
1952년, '''우도 볼란'''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던 그는 오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에서 우도 볼란 콰르텟을 결성하여 클라겐푸르트의 카페 오벨리스크에서 정기적으로 공연했다. 이 콰르텟은 드럼의 조니 리차드, 기타의 클라우스 베멜, 베이스의 브루노 가이거로 구성되었다. 콰르텟은 다양한 댄스 및 재즈 공연장에서 정기적으로 연주했으며, 라디오 알펜란트와 영국 군대 라디오 네트워크에서도 방송했다.
1964년부터 1966년까지 3년 연속으로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오스트리아 대표로 출전하여, 1966년에는 "Merci, Chérie"로 우승을 차지했다.
그 후 몇 년 동안 "Griechischer Wein", "Aber bitte mit Sahne", "Mit 66 Jahren"과 같은 곡들을 작곡했고, 1978년에는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과 함께 "Buenos Días, Argentina"를 공연했다.
1977년, 자신의 텔레비전 갈라 콘서트에 슈프림스를 초청하여 게스트로 출연시켰다. 당시 유럽에서의 짧은 고별 투어 중이던 슈프림스는 위르겐스의 "Walk Away"를 영어로 듀엣으로 불렀다.
1979년, 디스코 앨범 ''Udo '80''을 발매했으며, 히트 싱글 "Ich weiß was ich will"이 수록되었다.
2007년 12월 2일, 주크박스 뮤지컬 ''Ich war noch niemals in New York'' ("나는 뉴욕에 가본 적이 없다")가 함부르크의 오페레텐하우스에서 개봉되었다. 이 뮤지컬은 위르겐스의 노래를 가족적인 스토리라인에 엮었다.
2015년부터 위르겐스는 1958년 첫 차트 진입부터 2015년까지 57년 이상으로, 차트에 가장 오랫동안 이름을 올린 아티스트로서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2. 1. 초기 활동 (1950-1960년대 초)
1950년, 우도 위르겐스는 오스트리아 공영 방송 채널 ORF가 주최한 작곡 콘테스트에서 "Je t'aime"이라는 곡으로 우승했다. 1961년에는 셜리 베시가 부른 세계적인 히트곡 "Reach for the Stars"를 작곡했다.[5]1952년, 당시 '''우도 볼란'''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던 그는 오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에서 우도 볼란 콰르텟을 결성하여 클라겐푸르트의 카페 오벨리스크에서 정기적으로 공연했다. 이 콰르텟은 드럼의 조니 리차드(Johnny Richards, 영국), 기타의 클라우스 베멜, 베이스의 브루노 가이거로 구성되었다. 콰르텟은 다양한 댄스 및 재즈 공연장에서 정기적으로 연주했으며, 마이크 피오르가 제작한 라디오 알펜란트와 영국 군대 라디오 네트워크에서도 방송했다.
1964년, 위르겐스는 "Warum nur, warum?"이라는 곡으로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64에 오스트리아 대표로 처음 참가하여 6위를 차지했다. 영국의 참가자 맷 먼로는 이 곡에 감명을 받아 커버 버전 "Walk Away"를 발표했고, 이 곡은 영국 싱글 차트에서 4위, 미국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23위를 기록했다.
2. 2.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64-1966)
1964년부터 1966년까지 3년 연속으로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오스트리아 대표로 출전했다.연도 | 순위 | 곡명 |
---|---|---|
1964년 | 6위 | 바룸 누어, 바룸?(Warum nur, warum?) |
1965년 | 4위 | 자크 이어, 이히 라스 지 그뤼센(Sag ihr, ich lass sie grüßen) |
1966년 | 우승 | 메르시 셰리(Merci, Chérie) |
2. 3. 전성기 (1960년대 후반-2014)
위르겐스는 1964년 "Warum nur, warum?"이라는 곡으로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64에 오스트리아 대표로 참가하여 6위를 차지했다. 영국의 참가자 맷 먼로는 이 곡에 감명을 받아 "Walk Away"라는 제목으로 커버 버전을 냈고, 영국 싱글 차트에서 4위, 미국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23위를 기록했다.[5]
위르겐스의 "Sag ihr, ich lass sie grüßen"은 1965년 콘테스트에서 4위를 차지했고, 세 번째 시도 만에 "Merci, Chérie"로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66에서 우승했다. 이 곡은 빈스 힐에게 영어로 히트했으며, 먼로가 다시 커버했고, 위르겐스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가 되었다. 위르겐스 버전만으로 100만 장 이상 판매되었고, 1966년에는 도이체 보그로부터 골드 디스크를 받았다.[5]
그 후 몇 년 동안 위르겐스는 "Griechischer Wein", "Aber bitte mit Sahne", "Mit 66 Jahren"과 같은 곡들을 작곡했고, 그의 가장 큰 성공 중 하나인 "Buenos Días, Argentina"는 1978년 아르헨티나에서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과 함께 공연했다.
1977년, 그는 슈프림스를 초청하여 자신의 텔레비전 갈라 콘서트에 게스트로 출연시켰다. 당시 유럽에서의 짧은 고별 투어 중이던 슈프림스 (메리 윌슨, 셔리 페인, 서세이 그린)는 자신들의 히트곡 "You Are the Heart of Me"와 "You're My Driving Wheel"뿐만 아니라 위르겐스의 "Walk Away"를 영어로 듀엣으로 불렀다.

1979년, 그는 "Ich weiß was ich will"이라는 히트 싱글을 수록한 디스코 앨범 ''Udo '80''을 발매했다. 이 곡은 나이트클럽용 확장된 리믹스로 12인치 싱글 디스코 싱글로도 발매되었다.
2007년 12월 2일, 주크박스 뮤지컬 ''Ich war noch niemals in New York'' ("나는 뉴욕에 가본 적이 없다")가 함부르크의 오페레텐하우스에서 개봉되었다. 이 뮤지컬은 위르겐스의 노래를 가족적인 스토리라인에 엮어, ABBA 노래를 사용한 ''맘마 미아!''와 유사하게, 이 공연장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키스 리처즈처럼 위르겐스는 아르헨티나에서 매우 유명하며, 독일어를 사용하는 국가 외에서 가장 큰 팬층을 보유하고 있다.
2015년부터 위르겐스는 1958년 첫 차트 진입부터 2015년까지 57년 이상으로, 차트에 가장 오랫동안 이름을 올린 아티스트로서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2022년 12월 16일, 그의 유산을 담은 새 앨범이 그의 자녀들에 의해 발매되었다. 이 앨범은 12월 24일 독일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 따라서 위르겐스는 80년 이상 독일 차트에 이름을 올렸다.
2. 4. 사망
2014년 12월 21일, 위르겐스는 80세의 나이로 스위스 뮌스터링겐에서 심장 마비로 사망했다.[15] 심장 마비는 심장 근육 세포가 무질서하고 동기화되지 않게 수축하는 세동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의 후기 곡 중 하나인 "암 우퍼(Am Ufer)"에서 그는 "마침내 도착했다"라고 노래하며, 그 노래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암 우퍼 아우스 베슈윙터 차이트(Am Ufer aus beschwingter Zeit) 리크 플리머른 인 데어 루프트(liegt flimmern in der Luft); 운트 폴러 그렌첸로지히카이트(und voller Grenzenlosigkeit) 횔히 비히 다스 레벤 루프트(hör ich wie mich das Leben ruft)" (At a shoreline of inspired time, there's trembling (fibrillation) in the air and with utter boundlessness I hear how life is calling me|번역: "영감받은 시간의 해안가에서, 공기 중에 떨림(세동)이 있고, 완전한 무한함으로 나는 삶이 나를 부르는 소리를 듣는다"영어). 우도는 개와 함께 자연을 산책하던 중 심장 세동으로 인해 사망할 것을 예감한 것으로 보인다.
2014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오스트리아가 성공을 거두면서(1966년 위르겐스의 성공 이후 처음), 위르겐스는 다음 콘테스트의 인터벌 공연에 참여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그의 사망으로, 빈에서 열린 2015년 콘테스트의 조직위원회는 5월 20일 "유로비전 빌리지"에서 추모의 날을 개최하고, ORF 1에서 생방송된 오스트리아 국가 결선 방송 시작 시점에 그를 기렸다.[16][17] 콘테스트 결승전에서 바이올리니스트 리디아 바이히(Lidia Baich)는 오프닝 무대에서 그의 우승곡 일부를 라이브로 연주했다.[18]
3. 커버 버전
토마스 횔비거가 작사한 독일어 원곡 "Merci, Chérie"는 여러 언어로 번역되거나 각색되었으며, 수십 명의 아티스트가 보컬 및 기악 녹음으로 커버했다.
언어 | 커버 아티스트 및 곡명 |
---|---|
프랑스어 | 클로드 카레르와 앙드레 살베, "Merci Chérie" |
이탈리아어 | 비토 팔라비치니, "Merci" |
영어 | Baker Cavendish, "Merci Cherie" |
네덜란드어 | Fred Bekky, "Merci Cherie" |
스웨덴어 | Al Sandström, "Merci Chérie" |
루마니아어 | Gina Trandafirescu, "Merci Chérie" |
폴란드어 | Andrzej Ozga, "Merci Cheri" |
위르겐스 본인도 일본어 버전을 포함하여 국제 출시를 위해 여러 번역본을 녹음했다. 최근 커버로는 벨린다 칼라일이 2007년에 녹음한 프랑스어 버전이 있다.[11]
맷 먼로는 Cavendish의 "Merci, Chérie" 가사를 녹음하는 것 외에도, 그의 매니저 돈 블랙(작사가)이 작사한, 독일어 원곡과는 무관한 영어 가사의 위르겐스 곡 5곡을 더 커버했다. 이 중 4곡은 먼로와 밀접한 관련을 맺게 되었고 (이후 위르겐스 본인이 커버했다):
- "Warum nur warum?"는 "Walk Away"가 되었다. (1964년 미국과 영국에서 40위 안에 든 히트곡)
- "Du sollst die Welt für mich sein"는 "Without You"가 되었다. (1965년 영국 40위 안에 든 히트곡)
- "Was ich dir sagen will"는 "The Music Played"가 되었다. (1968)
- "Illusionen"는 "If I Never Sing Another Song"가 되었다. (1977), 이후 프랭키 레인, 셜리 배시,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및 기타 연예인들이 불렀다.
다섯 번째 위르겐스 곡인 "In dieser Welt"는 "Lovin' You Again"이 되었고, 1969년 맷 먼로는 스페인어와 영어 버전을 모두 녹음했으며, 영어 버전은 2012년 8월에 발매되었다.[12]
빙 크로스비는 마지막 녹음 세션 중 하나에서 위르겐스의 "Griechischer Wein"의 영어 버전인 "Come Share the Wine"을 커버했으며, 이 곡 역시 블랙이 작사했다.[13]
1979년, 마티 로빈스는 "Buenos Dias Argentina"의 영어 버전을 발매했고, 이 곡은 로빈스의 후기 대표곡이 되었다.[14]
1990년대 초, 독일의 스래시 메탈 밴드 소돔은 "Aber bitte mit Sahne"를 '메탈화'하여 커버했다.
2009년, 독일 밴드 슈포르트프로이데 슈틸러는 뮌헨에서 열린 그들의 ''MTV 언플러그드'' 콘서트에서 위르겐스와 함께 "Ich war noch niemals in New York"을 커버했다.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형 | 만프레드 보켈만 (Manfred Bockelmann) | 1943년 7월 1일 | 화가 | |
아들 | 존 위르겐스 (John Jürgens) | 1964년 2월 20일 | 가수, 배우, DJ | |
딸 | 제니 위르겐스 (Jenny Jürgens) | 1967년 1월 22일 | 배우 | |
삼촌 | 베르너 보켈만 (Werner Bockelmann) | 1907년 9월 23일 | 1968년 4월 7일 |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시장 |
우도 위르겐스는 예명이었기 때문에, 가수 안드레아 위르겐스나 배우 커드 위르겐스와는 혈연 관계가 없다.
5. 디스코그래피
연도 | 제목 | 비고 |
---|---|---|
1965 | "Portrait in Musik" | |
1966 | "Merci, Chérie"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
1967 | "Chansons" | |
1967 | "Portrait in Musik – 2. Folge" | |
1967 | "Was ich dir sagen will" | |
1968 | "Mein Lied für dich" | |
1968 | "Udo" | |
1968 | "Wünsche zur Weihnachtszeit" | |
1969 | "Udo Live" | |
1969 | "Portrait International" | |
1969 | "Udo '70" | |
1970 | "Udo '71" | |
1971 | "Zeig mir den Platz an der Sonne" | |
1972 | "Helden, Helden" | 뮤지컬 |
1972 | "Ich bin wieder da" | |
1973 | "Udo in Concert – Europatournee 72/73" | |
1973 | "International 2" | |
1973 | "Live in Japan" | |
1974 | "Udo heute" | |
1974 | "Meine Lieder" | |
1975 | "Udo '75" | |
1976 | "Meine Lieder 2" | |
1977 | "Udo Live '77" | |
1977 | "Meine Lieder '77" | |
1978 | "Lieder, die auf Reisen gehen" | |
1978 | "Buenos Días Argentina" | 축구 월드 챔피언십 |
1978 | "Ein Mann und seine Lieder – Live" | |
1979 | "Nur ein Lächeln" | |
1979 | "Udo '80" | |
1980 | "Meine Lieder sind wie Hände – Live" | |
1981 | "Leave a Little Love" | |
1981 | "Willkommen in meinem Leben" | |
1982 | "Silberstreifen" | |
1982 | "Udo Live – Lust am Leben" | |
1983 | "Traumtänzer" | |
1984 | "Hautnah" | |
1985 | "Udo live und hautnah" | |
1985 | "Treibjagd" | |
1986 | "Deinetwegen" | |
1987 | "Udo Live '87" | |
1988 | "Das blaue Album" | |
1989 | "Sogar Engel brauchen Glück" | 5곡의 리메이크를 포함한 베스트 앨범 |
1989 | "Ohne Maske" | |
1990 | "Live ohne Maske" | |
1990 | "Sempre Roma" | 축구 월드 챔피언십 |
1990 | "Das Traumschiff" | 기악 사운드트랙 |
1991 | "Geradeaus" | |
1992 | "Open Air Symphony" | |
1993 | "Café Größenwahn" | |
1994 | "Aber bitte mit Sahne" | 새로운 곡 1곡과 2곡의 리메이크를 포함한 히트 곡 모음 |
1995 | "140 Tage Café Größenwahn Tour 94/95" | |
1995 | "Zärtlicher Chaot" | |
1996 | "Gestern-Heute-Morgen" | |
1997 | "Gestern-Heute-Morgen – Live '97" | |
1998 | "Aber bitte mit Sahne 2" | 8곡의 리메이크를 포함한 히트 곡 모음 |
1999 | "Ich werde da sein" | |
2000 | "Mit 66 Jahren (Was wichtig ist)" | |
2001 | "Mit 66 Jahren – Live 2001" | |
2002 | "Es lebe das Laster" | |
2003 | "Es werde Licht" | |
2004 | "Es Lebe das Laster – Udo Live" | |
2005 | "Jetzt oder nie" | |
2005 | "Der Solo-Abend – Live am Gendarmenmarkt" | |
2006 | "Jetzt oder nie – Live 2006" | |
2008 | "Einfach ich" | |
2009 | "Einfach ich – Live 2009" | |
2009 | "Best Of" | MTV Unplugged에서 라이브로 리메이크한 곡 포함 |
2011 | "Der ganz normale Wahnsinn" | |
2011 | "Der Mann mit dem Fagott" | 자신의 영화 사운드트랙 |
2012 | "Der ganz normale Wahnsinn – Live" | |
2014 | "Mitten im Leben" | |
2015 | "Udo Jürgens Live – Das letzte Konzert Zürich 2014 mit dem Orchester Pepe Lienhard" | 마지막 투어의 마지막 콘서트에서 녹음한 새로운 라이브 앨범 (2014년 12월 7일, 사망 2주 전) |
2016 | "Merci, Udo!" | |
2017 | "Merci, Udo! 2" | |
2022 | "Da Capo - 3 CD Box" | |
2023 | "Die schönsten Lieder zur Weihnachtszeit" |
6. 주요 작품
제목 | 발매 연도 | 독일 (DE)[5] | 오스트리아 (AT)[5] | 스위스 (CH) | 비고 |
---|---|---|---|---|---|
키스 미 퀵 | 1963년 | #3 | 엘비스 프레슬리의 커버 | ||
그녀에게 전해줘 (Sag ihr, ich lass sie grüssen) | 1965년 | #9 | #4 | ||
금발의 17세 (Siebzehn Jahr, blondes Haar) | 1965년 | #4 | #6 | ||
Merci, Chérie | 1966년 | #4 | #2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66 우승곡, 여러 언어로 번안됨[11] | |
이유를 알려줘 (Sag mir wie) | 1966년 | #4 | |||
두 사람의 새벽 (Morgen bist du nicht mehr allein) | 1968년 | #16 | 일본어 버전 있음 | ||
코튼 필즈 | 1968년 | #5 | #4 | ||
마틸다 (Mathilda) | 1968년 | #6 | #5 | ||
밤이야, 세뇨리타 (Es wird Nacht, Señorita) | 1969년 | #6 | #4 | ||
아누슈카 (Anuschka) | 1969년 | #6 | #3 | ||
그리스의 와인 (Griechischer Wein) | 1974년 | #1 | #2 | #1 | 빙 크로스비가 "Come Share the Wine"으로 커버[13] |
멋진 집에는 (Ein ehrenwertes Haus) | 1976년 | #15 | #2 | ||
크림을 곁들여 (Aber bitte mit Sahne) | 1976년 | #5 | #13 | #2 | 소돔이 커버 |
부기우기 베이비 (Boogie Woogie Baby) | 1977년 | #7 | #9 | ||
부에노스 디아스, 아르헨티나 (Buenos dias, Argentina) | 1978년 | #3 | #3 | #3 | 마티 로빈스가 커버[14] |
1950년, ORF가 주최한 작곡 콘테스트에서 "Je t'aime"으로 우승했다.[5] 1961년에는 셜리 베시가 부른 "Reach for the Stars"를 작곡했다.[5]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는 세 번 참가했다. 1964년 "Warum nur, warum?"으로 6위를 기록했고, 맷 먼로가 "Walk Away"로 커버하여 영국 싱글 차트 4위, 빌보드 핫 100 23위를 기록했다. 1965년 "Sag ihr, ich lass sie grüßen"은 4위를 차지했고, 1966년 "Merci, Chérie"로 우승했다. "Merci, Chérie"는 빈스 힐 등 많은 가수들이 커버했으며, 100만 장 이상 판매되어 1966년 도이체 보그로부터 골드 디스크를 받았다.
맷 먼로는 "Walk Away" 외에도 "Without You", "The Music Played", "If I Never Sing Another Song", "Lovin' You Again" 등 위르겐스의 곡을 커버했다.[12]
1977년 슈프림스와 함께 "Walk Away"를 영어로 듀엣했다. 1979년 디스코 앨범 ''Udo '80''을 발매하고, 수록곡 "Ich weiß was ich will"은 12인치 싱글로도 발매되었다. 2007년에는 그의 노래를 엮은 주크박스 뮤지컬 ''Ich war noch niemals in New York'' ("나는 뉴욕에 가본 적이 없다")가 함부르크에서 개봉되었다. 2009년 슈포르트프로이데 슈틸러가 MTV 언플러그드 콘서트에서 위르겐스와 함께 "Ich war noch niemals in New York"을 커버했다.
7. 출연 영화
- 우리들의 미친 고모들(1961) - 피트 판 레스 역
- 티롤에서 온 세 통의 러브레터(1962) - 마틴 힌터키르크너 역
- 아침까지 춤을(1962) - 막스 카인츠 역
- 우리들의 미친 조카들(1963) - 피트 판 레스 역
- 남태평양의 우리 미친 고모들(1964) - 피트 판 레스 역
- 잘츠카머구트의 유령 성(1966) - 우도 역
본인 역
- 돌로레스의 다리(1957)
- … und du mein Schatz bleibst hier|… 운트 두 마인 샤츠 블라입스트 히어de(1961)
- 노이지들러 호수의 결혼(1963)
- The Battle of the Mods|라 바탈리아 데이 모드it(1966)
참조
[1]
웹사이트
Philosophische Hilfestellungen (159. Folge). Diesmal für: Udo Jürgens, Selbstdarsteller
http://www.zeit.de/2[...]
Zeit Online
2004-07-29
[2]
뉴스
Udo Jürgens ist jetzt Schweizer
http://www.blick.ch/[...]
blick.ch
2007-02-28
[3]
웹사이트
Udo Jürgens Biography
http://www.starpulse[...]
All Music Guide
[4]
웹사이트
1950 - 1959
http://www.magnudo.d[...]
[5]
웹사이트
German Music: Udo Jurgens
http://www.vistawide[...]
Vistawide.com
[6]
서적
The Book of Golden Discs
https://archive.org/[...]
Barrie and Jenkins Ltd
[7]
웹사이트
Spiel mir das Lied von der Schmach
https://www.stern.de[...]
2014-06-10
[8]
웹사이트
THE SUPREMES LIVE WITH UDO JURGENS 1977 - Mp3 Download (3.65 MB)
http://www.stafaband[...]
[9]
뉴스
Los Rolling Stones en Argentina: cómo fue su primera visita en 1995
https://www.lanacion[...]
[10]
웹사이트
German Chartblog: 2nd of Jan 2015: First List of the Year
http://germanchartbl[...]
Germanchartblog.blogspot.de
2009-09-25
[11]
웹사이트
Merci Cherie
http://www.secondhan[...]
SecondHandSongs.com
[12]
웹사이트
Matt Uncovered - The Rarer Monro
http://www.mint-audi[...]
MintAudioRestoration.com
[13]
웹사이트
Come Share The Wine
http://www.allmusic.[...]
AllMusic.com
[14]
웹사이트
Try A Little Tenderness: Morello Reissues Four From Marty Robbins
https://theseconddis[...]
TheSecondDisc.com
2016-07-07
[15]
웹사이트
Wie Udo Jürgens starb und warum sein Herz versagte
http://www.tz.de/sta[...]
[16]
웹사이트
Finale: Tribute für Udo Jürgens
http://songcontest.o[...]
ORF
[17]
뉴스
Eurovision Village zollt Udo Jürgens Tribut
http://www.vienna.at[...]
2015-05-20
[18]
웹사이트
Conchita Wurst & a magical bridge to open the Eurovision Final
https://eurovision.t[...]
2015-04-29
[19]
문서
Deutscher Musikautorenpreis
https://www.musikaut[...]
[20]
웹인용
Philosophische Hilfestellungen (159. Folge). Diesmal für: Udo Jürgens, Selbstdarsteller
http://www.zeit.de/2[...]
Zeit Online
2004-07-29
[21]
뉴스
Udo Jürgens ist jetzt Schweizer
http://www.blick.ch/[...]
2007-0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